-
(c언어)1. 변수C언어 문서화 2016. 3. 6. 17:48반응형
<변수>
변수는 즉 변할 수 있는 수, 내가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수를 의미한다.
그래서 우리는 변수를 마음대로 선언할 수 있다.
변수를 선언하는 법칙은 다음과 같다:
1. 예약어(reserved word)는 사용할 수 없다.
예약어는 c언어가 이미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쓸 수 없다. 종류에는 int, char, float 등이 있다.
2.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말 그대로 변수를 선언할 때 공백이 있어서는 안 된다. average_score, averagescore 이런건 되지만 average score 이건 안된다.
3.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Average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쓸 때는 average를 사용했다면, 에러가 난다.
4. 알아보기 쉽게 하는것이 좋다.
알아보기 어렵게 a, b, c이런식으로 변수를 선언하지 말고 average, hap, factorial같은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 좋다.
변수의 선언은 이렇게 한다:
타입 변수명[=초기값][,변수명, 변수명, 변수명, ......];
int i;
float average=0;
char a, b, c;
이런식으로 선언하면 된다.
<입출력>
c언어를 배우는 사람 모두가 처음 대하는 명령어. printf. c의 표준 출력 함수이다.
이렇게 사용하면 된다:
printf("서식 문자열" [,인수, 인수, 인수, .....]);
이것을 사용하면 괄호 안에 있는 서식 문자열을 출력한다.(이때, 문자열 내에 %로 시작하는 서식이 있으면 순서대로 뒤에 인수와 대응하여 값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printf("Hello World");
이것은 화면상에 Hello World를 출력하는 것이다.
또다른 예를 들자면:
#include <stdio.h>
int main(){
int i=7;
char k='A';
printf("i의 숫자는 %d이며 k의 문자는 %c입니다.", i, k);
return 0;
}
결과 : i의 숫자는 7이며 k의 문자는 A입니다.
이런식으로 printf를 사용 할 수 있다.
※참고
%d : 10진 정수로 출력
%o : 8진 정수로 출력
%x : 16진 정수로 출력
%c : 1개의 문자 출력
%s : 문자열 출력
%f : float형의 실수 출력
%lf : double형의 실수 출력
%% : %자체를 출력
자릿수를 맞추고 싶으면 %다음에 정수를 입력하면 된다.
이번엔 scanf다.
scanf는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소통역할을 담당한다. 그렇다. 입력함수다.
이렇게 사용하면 된다 :
scanf("서식문자열", &변수[, &변수, &변수, .....]);
값을 입력받아(서식문자열) 변수라는 위치를 찾아가 그 위치에 대입한다는 뜻이다. (나중에 가면 알겠지만 &은 쉽게 말해 위치를 가리키는 연산자이고 배열에는 붙일 필요가 없다.
사실은 나도 잘 모른다)(※TIP : scanf를 마치면 자동으로 한줄이 띄워진다.)
예를 들자면:
#include <stdio.h>
int main(){
int i;
printf("정수를 입력하세요 : ");
scanf("%d", &i);
printf("%d", i);
return 0;
}
입력 : 7
결과 : 7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된다.
<자료형>
자료형
크기
수의 표현 범위
char
1byte
개의 문자를 표현
int
2byte || 4byte
-32768~32767 || -
~
float
4byte
~
double
8byte
~
반응형'C언어 문서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6. 이진탐색 (0) 2016.03.25 (C언어) 5. 문자열 (0) 2016.03.22 (C언어) 4. 아스키코드 (0) 2016.03.22 (C언어)3. 배열 (5) 2016.03.22 (c언어) 2. 제어문 (0) 2016.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