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C언어) 7. 함수C언어 문서화 2016. 3. 25. 01:54
1. 함수란?지금까지 배웠던 것 중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것은 : (1) : 반복문(2) : 배열이 두가지다. 하지만 오늘 알았다. 함수는 이 두개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함수란 특별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의 단위를 말한다.함수==역할 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2. 함수의 구조함수는 세 개의 구조로 나뉘어져있다. 함수 호출 함수 실행 함수 결과 리턴에서는 말 그대로 함수를 호출한다. 준비상태!에서는 함수를 실행한다. 실행중!에서는 함수 실행을 마친 뒤 그 결과값을 되돌려준다. 리턴! 3. 지금까지 아무것도 모르고 썼던 함수C언어에서 printf를 해 본 사람들이라면, 그 사람들은 모두 함수를 쓰고 있다.이게 무슨말인가...!그렇다. printf는 함수이다. 이걸 왜 함수라고 하는 것일..
-
(C언어) 6. 이진탐색C언어 문서화 2016. 3. 25. 01:00
1. 개요 처음 이진 탐색이라는 것을 보자마자 난 이런 생각을 했다."이진 탐색? 이진수로 파일을 탐색하는건가?" 이렇게 생각하며 겁먹었다. 하지만 검색을 하고 온 결과 별거 아니라는 걸 알게 되었고, 프로그래밍 수업시간에 이중for문과 랜덤함수를 이용해서 재미로 숫자맞추기 게임을 만들었었는데 그거랑 비슷하다는 것을 또 알았다. 2. 이진 탐색의 정의네이버 지식백과에선 이렇게 써있다.이진 탐색(binary search)은 정렬된 데이터 집합을 이분화하면서 탐색하는 방법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이런거다 : (단, 중앙에 있는 값을 찾는 알고리즘은 (범위에서의 최대값+범위에서의 최솟값-1)/2 이다.)1~100까지의 수 중에서 97이라는 수를 이진 탐색으로 찾고싶어졌다.
-
Layer7_20160323수업_2의2000제곱(2의 2000승)예제/Layer7_20160323 2016. 3. 24. 23:31
알고리즘 설명 : 전제조건_1 : 배열 한칸한칸마다 숫자 한자리씩 넣는다. 필자는result[0]==일의자리수, result[1]==십의자리수, result[2]==백의자리수 ... 이렇게 되는것 보단result[700]==일의 자리수, result[699]==십의자리수, ... 이렇게 되는게 더 이해하기 편해서 배열을 역으로 돌렸다.전제조건_2 : 나중에 출력할 때는 0을 정리해서 출력하기 때문에 결과값에는 상관이 없다. 코드 :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 #include int main() { int i, j, k, a = 0; int result[701] = { 0 }, result_sub[..
-
Layer7_20160323수업예제/Layer7_20160323 2016. 3. 24. 22:50
k번째 숫자가 무엇이었는지 출력한다.123456789#include int main(){ int k, arr[10]={10, 9, 8, 7, 6, 5, 4, 3, 2, 1}; scanf("%d", &k); printf("%d", arr[k-1]); return 0;}Colored by Color Scriptercs입력 : 3출력 : 8 k가 몇 번째에 있는지 출력한다. 단, 없으면 -1을 출력한다.123456789101112#include int main() { int k, arr[10] = { 10, 9, 8, 7, 6, 5, 4, 3, 2, 1 }; scanf("%d", &k); if(k10){ printf("-1"); return 0; } printf("%d", arr[k - 1]); return ..
-
(C언어) 5. 문자열C언어 문서화 2016. 3. 22. 23:59
[문자열] (작성자의 현재 C언어 수준은 배열까지이므로 배열수준의 문자열 까지만 작성했습니다.) 상수 형식 지정자 쓰임 정수형 %d 10진 정수 실수형 %f, %lf 실수 문자형 %c 문자 1개 문자열형 %s 문자 이 표를 기억하고 있다면 당신은 이미 문자열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문자열은 위에 보이는 문자형 형식 지정자 %c와 문자열형 형식 지정자 %s 이 두개로 표현한다.(문자 하나도 결국 문자의 개수가 1개인 문자열이라고 볼 수 있다.)12345678910#include int main(){ char character_1='A', character_2[]={"A"}; printf("%c\n", character_1); printf("%s\n", character_2); printf("%c\n", ch..
-
(C언어) 4. 아스키코드C언어 문서화 2016. 3. 22. 23:02
[아스키 코드] (1) 아스키 코드C언어에서 데이터형 char형을 배웠다면 다 아는 아스키 코드. 대문자A는 65이고 소문자A는 97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은 아스키의 영문 표기법, ASCII의 본말이 무엇인지조차 모른다.그렇다면 아스키 코드는 과연 무엇일까?아스키코드는 영어로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이렇게 쓴다.1963년 미국 표준 협회(ANSI)에 의해 미국의 표준부호가 되었다.7비트의 이진수 조합으로 되어있어서, 총 128개의 문자에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다.(2) 아스키 코드표10진수 기준 0부터 127까지 총 128개의 문자와 아스키 코드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잘 이해했..